5월 15일
- 단핵밀도경사함수(Monocentric Model)
1. 밀도 경사도 구하기 - completed
2. 각 연도의 인구 고용밀도 - completed
3. 도심(명동)으로부터의 밀도 변화 - 그래프 그려오기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5월 17일
1. 밀도변화율을 거리에 따라 그래프로 그려보기. (인구밀도, 직장밀도)
(81-86, 86-91, 91~95, 95~00, 00~05)
2. 인구밀도와 고용밀도를 Z-score(정규분포 형태)을 이용해서 3개의 계층(상위 25%, 25~50%, 50% 미만)
dong popden empden popZ empZ
평균
표준편차
계층을 arcview 위에 그려보기
3. google에서 matlab gwr(general weighted regression)검색해서 nonparametric regression을 공부하기
4. 고용자료를 대분류 산업별로 (A, B, C - 농업, 임업, 어업)을 제외하고 각각 동_행정구역별로 인구고용데이터 만들어내기
5. 밀도경사함수를 할 때에 missing값이 많은 이유.. 찾아보고, 안되면 그 지역을 구분해서 인근지역의 distance 입력하기
- 단핵밀도경사함수(Monocentric Model)
1. 밀도 경사도 구하기 - completed
2. 각 연도의 인구 고용밀도 - completed
3. 도심(명동)으로부터의 밀도 변화 - 그래프 그려오기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5월 17일
1. 밀도변화율을 거리에 따라 그래프로 그려보기. (인구밀도, 직장밀도)
(81-86, 86-91, 91~95, 95~00, 00~05)
2. 인구밀도와 고용밀도를 Z-score(정규분포 형태)을 이용해서 3개의 계층(상위 25%, 25~50%, 50% 미만)
dong popden empden popZ empZ
평균
표준편차
계층을 arcview 위에 그려보기
3. google에서 matlab gwr(general weighted regression)검색해서 nonparametric regression을 공부하기
4. 고용자료를 대분류 산업별로 (A, B, C - 농업, 임업, 어업)을 제외하고 각각 동_행정구역별로 인구고용데이터 만들어내기
5. 밀도경사함수를 할 때에 missing값이 많은 이유.. 찾아보고, 안되면 그 지역을 구분해서 인근지역의 distance 입력하기